영남

'경남 공공산후조리원' 산모들의 든든한 지원군 되다

CTN_news 2024. 10. 7. 16:56
반응형

- 출산 인프라 격차 해소!
- 저출생 문제 해결의 핵심! 서부권·북부권 공공산후조리원 설치 본격화
- 지역격차 해소 위해 서부권(사천), 북부권(거창) 공공산후조리원 추가 설치
- 권역별 공공산후조리원 설치로 산모 부담 해소 및 양질의 산후조리서비스 제공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가 출산 장려 정책 핵심 인프라 중 하나인 경남 권역별 공공산후조리원을 동부권(밀양)에 이어 서부권(사천)과 북부권(거창)에도 설치할 예정이다.

경남도는 7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후반기 도정방향 ‘복지·동행·희망’의 3호 정책인 ‘경남 권역별 공공산후조리원 설치계획’을 발표했다.

경남의 출산 인프라는 다소 열악한 상황으로 도내 민간산후조리원의 이용 요금 상승과 도시 집중, 한곳에 불과한 공공산후조리원의 부족 등으로 인구감소지역의 많은 산모들이 인근지역으로 원정출산을 하고 있다.

경남도는 출산 인프라 개선을 위해 2018년 권역별 공공산후조리원 설치계획을 수립하여, 2022년 6월 동부권인 밀양에 최초로 공공산후조리원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서부‧북부권 공공산후조리원 추가 설치는 예산 확보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지연되고 있었다.

이후 민선 8기 박완수 도지사 공약사업으로 ‘공공산후조리원 설치사업’이 선정됐고, 이번 후반기 도정방향 ‘복지·동행·희망’ 대표과제로도 채택되면서 권역별 공공산후조리원 설립이 본격화됐다.

- 공공산후조리원 설치로 인구감소지역 출산인프라 확충과 출산가정 경제적 부담 완화

2024년 기준 경남도내 산후조리원은 25개소로 공공 1개소, 민간 24개소(창원13, 진주3, 통영1, 김해4, 거제1, 양산2)로 모두 도시 지역에 있다.

이에 관내에 산후조리원이 없는 지역의 산모들은 먼 거리에 있는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거나, 가정에서 산후조리를 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겪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