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남

부산시, 생성형 인공지능 적극 활용

반응형

- 홍보 다변화 시대에 발맞춰 시 정책 홍보 분야에 생성형 인공지능(AI) 적극 활용
- 유튜브,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부산시보를 대상으로 매체별 전략을 세워 인공지능(AI) 콘텐츠 제작·홍보 중
- 앞으로도 부산의 다양한 소식과 정책을 참신한 인공지능(AI) 콘텐츠로 제작할 계획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올해(2025년)부터 정책 홍보 분야에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적극 활용한다고 밝혔다.
부산은 2024년 세계 스마트도시 평가 13위에 오르며 글로벌 스마트도시의 위상을 세우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시는 시민들의 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책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올해 콘텐츠 제작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한다.

특히, 시는 대시민 홍보 활성화를 위해 시민이 가장 친근하게 이용하는 유튜브,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부산시보를 대상으로 매체별 전략을 세워 인공지능(AI) 콘텐츠를 제작해 홍보에 나섰다.

시 공식 유튜브 채널인 '부산튜브'는 2025년 달라지는 제도와 시책을 주제로,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짧은 영상(숏폼) 시리즈를 제작·공개 중이다.

현재 ▲광안대교 스마트톨링 편 ▲소상공인을 위한 비타민 플러스(PLUS) 자금 편 ▲부산형 산후조리경비 편, 3편을 차례로 공개했으며, 이와 관련한 이벤트 등을 함께 진행해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시리즈는 총 8편으로 제작될 계획이며, 특히 인공지능(AI) 콘텐츠 제작에 시 공무원들이 직접 녹음 작업에도 참여해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시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채널은 지난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콘텐츠 기획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작년 추석 명절 기간에는 ‘다시 만난 부산의 추억’이란 제목으로 부산에서의 추억이 담긴 사진을 공모받아 인공지능(AI) 콘텐츠로 제작해 시민들에게 추억을 선물했다. ‘턴 투워드 부산’이 있는 11월에는, 재한유엔기념공원과 공동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전우들이 인공지능(AI)을 통해 다시 만나는 모습을 연출해 감동을 선사했다. 해당 콘텐츠는 시 공식 해외 인스타그램(@busancity_globe)에서 132만 뷰를 달성했다.

올해는 첫 인공지능(AI) 콘텐츠로 설 연휴를 맞아 시민들이 직접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민생충전’ 정책을 홍보했다. 친근한 인공지능(AI) 이미지를 이용한 시민 반응형 콘텐츠를 공개함으로써 정책에 대한 관심도를 높였다.

부산시보 '부산이라 좋다'의 경우 명확한 이미지 전달을 위해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을 인공지능(AI)으로 제작해 시보에 실었다.
▲경제회복 ▲혁신성장 ▲시민 행복 키워드를 이용해 경제정책 목표인 ‘빠른 경제회복과 혁신성장을 통한 시민 삶의 행복 증진’을 인공지능(AI) 이미지로 제작했다.

박광명 시 대변인은 “홍보의 다변화 시대인 지금은 시민들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정책 홍보가 이뤄져야 하고, 인공지능(AI)이 전 지구적인 추세인 만큼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양하고 똑똑한 홍보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부산의 다양한 소식과 정책이 어떤 참신한 인공지능(AI) 콘텐츠로 공개될지 기대해 달라”라고 전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