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남

'청년친화도시' 부산진구 최종 선정

반응형

- 국무조정실 주관의 「청년친화도시」 지정 공모에 선정돼
- 부산진구의 청년정책인 파이브업 추진 계획, 복합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정책으로 높은 평가 받아
- 이번 선정으로 5년간 청년친화도시 조성방향 수립을 위한 자문·교육 운영
- 청년친화도시 관련 청년정책 추진을 위해 올해(2025년)부터 5년간 총 10억 원의 사업비 투입 예정
- 시, '청년친화도시'와 연계해 2025년 부산시 청년정책 「청년지(G)대」 추진계획, 일자리 부조화(미스매치) 해소방안, 청년공간 활성화 방안을 새롭게 마련해
- 박형준 시장, “앞으로도 청년 눈높이에 맞는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적극 추진해 정책 체감도를 높이고, '청년들이 머물며 꿈을 이루어가는 도시 부산'을 만들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혀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처음 시행된 「청년친화도시」 공모에 '부산진구'가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청년친화도시’는 청년의 참여를 바탕으로 청년 발전 및 역량 강화를 도모하며, 청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역을 조성하고 타 지자체로 확산을 유도하는 제도로 「청년기본법」에 따라 전국 시·군·자치구, 특별자치시(세종), 특별자치도(제주)를 대상으로 매년 최대 3개 지역을 선정해 국무총리가 지정하며, 지정기간은 5년이다.
→ 「청년친화도시」 최종 선정 : 부산시 부산진구, 서울시 관악구, 경상남도 거창군

이번 공모에 선정된 '부산진구'에는 청년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자문·교육 운영, 청년친화도시 관련 정책추진을 위해 올해(2025년)부터 5년간 총 1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청년친화도시 공모는 지난해(2024년) 8월 모집 공고를 시작으로 시 자체 평가위원회와 전문가 컨설팅을 거쳤으며, 신청서 제출(10월, 시→국무조정실), 서면평가(11월, 전국 6개 지자체 선정), 현장평가(12월), 발표평가(’25년 1월) 등 6개월 동안 진행됐다.
시는 지난해 10월 부산진구와 해운대구를 자체 선정해 공모에 참여했다.

부산진구는 지리적으로 부산의 중심 상업 지역으로 시 기초지자체 중 청년들이 가장 많이 머물고 즐기는 지역으로, 전포 카페거리, 부산 이(e)-스포츠 경기장(BRENA) 등을 중심으로 청년문화를 활성화하고 청년 마음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적 노력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파이브 업(FIVE-UP) 사업인 ▲소통업(UP), ‘청년시설 활성화’ ▲일자리업(UP), ‘청년일자리카페-취업매니저-기업탐방 원스톱 지원’ ▲창업업(UP), ‘창업 시작부터 성공까지’ ▲주거 안심업(UP), ‘전월세 주거 지원’ ▲흥업(UP), ‘이(e)-스포츠 부산진 챌린저스’ 등 청년정책 전반을 아우르는 복합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정책이 평가위원의 관심을 끌었다.

또한 가상모형(디지털 트윈)을 청년정책에 도입해 청년이 원하는 정책을 데이터 기반으로 수립하고 시행할 수 있는 시설(인프라)을 구축해 향후 성과관리와 확산에도 앞장설 예정이다.

한편, 시는 '청년친화도시' 지정을 목표로 자체 평가위원회와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였고, 현장ㆍ발표평가에 참석해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아울러, 시는 ‘청년친화도시’와 연계해 2025년 부산시 청년정책 「청년지(G)대」 추진계획, 일자리 부조화(미스매치) 해소방안, 청년공간 활성화 방안(청년 공간 스위치ON 프로젝트)을 새롭게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앞으로도 청년 눈높이에 맞는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적극 추진해 정책 체감도를 높이고, '청년들이 머물며 꿈을 이루어가는 도시 부산'을 만들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반응형